야무무

추상 표현주의 운동과 여성 화가들 본문

미술사 이야기

추상 표현주의 운동과 여성 화가들

야무무 2023. 7. 1. 22:30

추상 표현주의란

추상 표현주의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0년대 후반에서 1950년대까지 미국의 미술계에서 태동된 미술 운동으로, 세계 예술의 중심이 유럽, 특히 파리에서 미국 뉴욕으로 변경되는 계기가 될 정도로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2차 세계 대전 후의 "차가운 추상 (기하학적 추상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생한 "뜨거운 추상 (타시즘, 앵포르맬)"까지도 포함하여 추상표현주의라고 불린다. 잭슨 폴록 Jackson Pollock, 빌럼 데 쿠닝 Willem de Kooning, 그리고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등의 남성 작가들로 구성된 명단이 흔히 그 시기를 이끈 주역의 이름들로 기억되곤 한다. 하지만 이 운동은 결코 남성들만의 영향으로 움튼 것이 아니며, 여성들도 추상 표현주의 운동의 발전과 진화에 기여를 하였다. 여성들은 성차별, 교육 및 전시 기회의 한계, 그리고 성별에 입각한 사회적 기대같은 장애물들과 마주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상당한 역할을 해왔다. 그들은 독특한 시각과 그들만의 접근법을 통해 이 새로운 미술 사조를 확장시키면서, 지배적인 내러티브에 도전했다.

추상표현주의 운동과 여성 화가들 썸네일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주목할 만한 여성 작가들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주목할 만한 여성 작가들 중 가장 영향력 있던 작가는 단연 리 크래스너 (Lee Krasner) 일 것이다. 리 크래스너는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어 추상의 경계를 탐구하며 다수의 작품을 생산하는 활발한 작가였다. 그녀는 잭슨 폴록의 아내이기도 했는데, 그들의 관계는 꼭 평안하게 이어졌다고 하긴 어렵지만, 서로의 예술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분명했다. 리 크래스너는 잭슨 폴록에게 다양한 실험적 기술을 시도하도록 추천하였으며, 그의 액션 페인팅은 크래스너의 작품, 특히 "리틀 이미지 (Little Image)" 시리즈에 영향을 미쳤다.

추상 표현주의와 관련된 다른 주목할 만한 여성 작가로는 조안 미첼 (Joan Mitchell)이 있다. 미첼의 작품은 대담한 브러시 스트로크와 생기 넘치고 활발한 팔레트로 특징 지어졌으며, 주로 자연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녀의 그림은 종종 남성 동료들과 비교되기도 하였지만, 조안 미첼은 "여성의 스타일"이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하며, 남성과 여성 작가들이 만든 예술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주장을 했고 그에 따라 평가 받기를 원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여성 작가인 헬렌 프랑켄탈러 (Helen Frankenthaler)는 색채의 사용과 캔버스에 물을 뿌려 물감을 스며들게 하는 혁신적인 기법으로 유명하다. 헬렌 프랑켄탈러는 종종 풍경과 자연에서 작품의 영감을 받았으며, 그녀는 추상 표현주의 내에서 "컬러 필드" 운동의 일원이었다. 그녀의 영향력 있는 그림 "산과 바다 (Mountains and Sea)"(1952)는 프라이머나 젯소 처리가 되지 않은 날 것의 캔버스 위에 묽은 물감을 직접 뿌려 자연스레 색상이 섞이고 스며들게 한 작품이다.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영향을 펼쳤던 또 다른 여성 작가로는 조형적 요소를 자신의 추상적 화풍과 통합한 그레이스 하티건 (Grace Hartigan)과 화가이자 작가였던 일레인 데 쿠닝 (Elaine de Kooning)이 있다. 일레인 데 쿠닝은 많은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활발한 작가였으며, 빌럼 데 쿠닝과 결혼하였다. 그들의 관계는 크라스너와 폴록의 관계와 유사하게 서로의 예술에 무척 많은 영향을 끼쳤다.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여성 작가들의 역할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여성 작가들의 역할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많은 남성 작가들과 동등한 동료로서 영감을 주고받으며 크게 기여하였으나 종종 차별과 주변적인 역할로만 받아들여지는 등의 불합리한 상황에 직면해야 했다. 많은 갤러리와 박물관들은 그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것에 주저하였으며, 남성 작가들을 선호하여 여성 작가들은 종종 무시되곤 하였다. 이에, 일부 여성 작가들은 남성적인 이름이나 이니셜을 필명으로 사용하여 "여성 작가"로 분류되는 것을 피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추상 표현주의에서 여성 작가들이 기여한 것들이 주목을 받고 인정 받기 시작하며, 2016년 덴버 미술관에서는 "추상 표현주의의 여성들 (Women of Abstract Expressionism)"이라는 전시회를 개최하여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활발히 활동했던 대표적인 여성 작가 12인의 작품을 선보였다. 이 전시회는 추상 표현주의가 오로지 남성 중심적인 운동이라는 이념에 도전하고 여성 작가들의 공로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여성 작가들이 맡았던 역할은 그들이 개별적으로 기여한 것을 넘어선 것이었다. 그들의 존재와 참여는 그 시대의 전통적인 성 역할에 도전하며, 미래의 여성 작가들을 위한 길을 열어주었다. 그들은 다양한 노력으로 자신의 성별에 의해 정의되지 않으려 하며, 예술계에서 여성에게 허용되는 것으로만 간주되던 제한적인 것들을 넘어서며, 포용적이고 다양한 예술적 지평을 만드는 데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여성들이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서 한 역할은 중요하며 결코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이 여성 작가들은 독특한 시각과 접근법을 가져와 이 예술 형태를 확장시키고 당대 사회적인 차별적 고정관념에 도전했다. 차별과 무시에 직면하면서도 그들은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미래의 여성 작가들을 위한 길을 열어주었다. 이들의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 대한 기여를 인식하고 기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전반적으로 예술계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축하하는 것이 필요하다.